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김영철의동네한바퀴19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양주 감악산 신암저수지 송어 낚시 화훼단지 시클라멘 양주시 남면 신암리에 위치한 신암저수지는 1970년대 농업용수를 위해 만들어진 저수지라고 하는데요, 감악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물로 이루어진 신암저수지는 산으로 둘러싸여 사시사철 아늑한 정취를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2월 6일 저녁 7시 10분에 방송되는 KBS 김영철의 동네 한바퀴에서는 겨울 제철을 맞은 송어를 낚기 위해 신암저수지에 모인 낚시꾼들을 만난다고 합니다. 경기도 양주시는 중앙부의 불곡산괴 도락산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감악산, 칠보산, 천보산, 노고산, 도봉산이 인접 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곳으로 중심부의 높은 산과 주변부를 둘러싼 산과 지세는 신천, 덕계천, 상패천 등의 수계와 어우러져 많은 저수지를 만들었습니다. 양주시는 수도권이면서 상대적으로 개발이 늦어 농경지가 많고 서울에 인접하여.. 2021. 2. 6.
김영철의 동네 한바퀴 문경새재 용추계곡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의 경계에 있는 문경새재는 예로부터 사회 문화 경제의 유통과 국방상의 요충지로 알려져있는데요, 조선 태종 14년(1414) 개통된 관도 벼슬길로 영남과 기호지방을 잇는 영남대로 중 가장 유명하며 조선시대 옛길을 대표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1월 30일 저녁 7시 10분에 방송되는 KBS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는 영남지방의 북쪽 관문으로 예부터 서울로 가는 교통의 요충지였던 경북 문경을 찾아가 골골이 각자의 자리에서 진득하게 삶을 버텨낸 문경 사람들을 만나본다고 합니다. 문경새재는 옛날 영동의 추풍령과 단양의 죽령과 더불어 백두 대간을 넘나드는 고개 중 으뜸으로 칠 만큼 중요한 교통로이며 새재라는 뜻은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한자로 표기하면 .. 2021. 1. 30.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양평 두물머리 산수유마을 남한강을 끼고 있어 수려한 경치를 자랑하고, 두물머리, 용문산, 용문사 등 볼거리도 풍성한 양평은 서울에서 1시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어 혼자만의 사색을 위해, 또는 연인과 함께 가슴 떨리는 데이트를 위해, 사랑하는 가족과 추억을 남기기 위해 부담 없이 떠날 수 있는 여행지로 인기가 많은 곳입니다. 11월 28일 저녁 7시 10분에 방송되는 KBS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는 서울 근교 관광지로 인기가 많은 양평으로 여행을 떠난다고 합니다. 중앙 북부에는 용문산이 솟아 있고 강 남부에는 양백산이 솟아 평지가 적은 고장으로 산악관광지가 발달되어 있는 양평은 군의 시내 중앙을 중앙선 철도가 통과하고 있어 이곳 관광지 이용에 편리하며 강원도 홍천군, 횡성군 방면과 서울로 연결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합니다... 2020. 11. 28.
김영철의 동네 한바퀴 강진 정약용 목민심서 강진 음악 창작소 18세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은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18년간 유배하면서 목민심서를 비롯하여 경제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 권에 달하는 조선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인데요, 목민심서는 다산 저약용이 지방관의 윤리적 각성과 농민 경제의 발전을 다룬 것으로 강진에 귀양 가 있는 동안 저술한 책임니다. 목민심서는 평생을 검소와 청렴을 철학으로 살았던 정약용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공직자가 마음으로 새겨야 하는 정신이 담긴 책으로 당시 목민관이 지켜야 할 지침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10월 17일 저녁 7시 10분에 방송되는 KBS 김영철의 동네 한바퀴에서는 다산 정약용이 18년 유배 생활 숨결이 남아 있는 강진으로 향한다고 합니다. 전남 강진은 곳곳에 다산의 숨결이 흐르고 있다고 .. 2020. 10. 17.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목포 해상 케이블카 삼학도 도깨비 시장 유달산 외달도 해양 관광 자원과 문화 예술 자원이 조화로운 관광 도시이자 해양 도시인 전남 목포는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라는 노래가 유명하고 유달산을 비롯하여 삼학도 갓바위 문화의 거리, 외달도 등 다양한 명소가 있는 지역입니다. 8월 22일 7시 10분에 방송되는 KBS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는 골목마다 구슬픈 노랫가락이 흐르는 낭만 항구 목포를 찾아 목포 사람들의 희로애락을 함께 하다고 합니다.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에 등장하는 삼학도는 한 청년을 사모한 세 여인이 죽어 학이 되었고 그 학이 떨어져 죽은 자리가 섬이 되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고 합니다. 삼학도에는 목포의 눈물을 부른 이난영을 기념하는이난영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목포에서는 총 길이 3.23km로 국내에서 가장 길며 북항에서 고하도를 잇고 .. 2020. 8. 22.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전남 해남 두륜산 대흥사 일지암과 초의선사 해월루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두륜산은 대둔사의 이름을 따서 대둔산이라 칭하다가 대둔사가 대흥사로 바뀌자 대흥산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요, 두륜의 뜻은 산 모양이 둥글게 사방으로 둘러서 솟은 '둥근머리산', 또는 날카로운 산정을 이루지 못하고 둥글넓적한 모습을 하고 있다는 데서 연유한 것이라고 합니다. 두륜산은 두륜산 일대의 산수미와 사찰, 남해를 조망할 수 있는 지리적인 조건 등으로 하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산중에는 신라진흥왕이 어머니 소지부인을 위하여 546년(진흥왕 7)에 창거나였다는 명찰 대흥사가 있습니다. 대흥사의 대웅전에서 700m 가량 정상 쪽으로 가파른 산길을 올라가면 조서누기 대표적 선승 가운데 한 사람이며, 우리나라의 다성(茶聖)으로 추앙 받는 초의선사가 그의 '다선일여'사상을 생활화하기.. 2020. 8.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