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신기하고 놀라운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앞으로는 목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등의 불편함이 없이 위내시경 검사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는데요, 인체 통신을 활용해 소화기 질환 중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식도와 위를 캡슐내시경으로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인바디 인체통신을 활용하여 기존 제품보다 영상전송속도가 4배 빠른 초당 24장의 고속 전송이 가능한 고해상도 캡슐내시경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ETRI는 사람의 몸을 매질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바디 인체통신기술로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져 식도처럼 캡슐이 빠르게 지나가는 구간에서도 자세한 관찰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캡슐이 몸 안으로 들어간 뒤, 동영상 보듯이 내부 장기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정밀한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연구진에 따르면 내시경에 쓰이는 캡슐은 가로 1cm,세로 3.1cm의 크기이며, 캡술은 송신기 역활을 하며 내부에는 LED 램프, 두 개의 전후방 카메라, 코인형 배터리, 자석 등으로 구성돼있다고 합니다.
캡슐이 촬영한 영상은 몸에 붙이는 전극 또는 벨트 타입의 수신부를 통해 체외에 있는 휴대전화 크기의 수신기로 전송되고 저장된다고 합니다. 의사는 수신기를 보면서 자석이 내장된 캡슐을 몸 밖에서 마그네틱 컨트롤러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유롭게 캡슐의 자세를 바꾸거나 위벽에 캡슐을 머므르게 만들어 좀 더 자세한 관찰이 가능합니다.
연구진은 향후 기술을 고도화시켜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등 전체 소화기관을 검진할 수 있는 기술과 제품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상용화는 시스템의 검증과 인증시험을 거쳐 내년 쯤일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내시경은 위암이나 대장암 검사방법 중 가장 정확한 검사라고 말하고 있는데요, 위, 대장에 있어서는 오히려 CT나 MRI보다 월등한 검사 방법으로 위암이나 대장암 검사법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내시경검사만 받으면 조기발견을 통해 위암,대장암 모두 90% 이상 완치가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내시경으로 진행성 암을 찾아내는 경우는 거의 100%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위내시경이나 대장내시경 검사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지만, 대장의 경우 천공 등의 위험도 있다고 합니다. 또 내시경은 일회용이 아니고 소독을 거쳐 여러 사람의 입과 항문을 통해 삽입된 후 검사와 시술이 이뤄지기 때문에 내시경 소독을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다양한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내시경 소독 수가도 신설되어 있고 정부나 학회 차원에서 지속적인 질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시사상식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래퍼 케이케이 태국 숙소 수영장에서 다이빙 중 목뼈 골절 전신마비 케이케이 누구 본명 나이 (0) | 2019.04.04 |
---|---|
4차 산업혁명 유망 직종 자격증 (0) | 2019.04.04 |
임대형 제로에너지 주택 로렌하우스 북한강 동연재 국내최초 단독주택 임대 거주 (0) | 2019.02.28 |
이국종 교수 국민추천 무궁화 훈장 수상 (0) | 2019.02.26 |
한명숙 이석기 한상균 3.1절특사 제외 이유 (0) | 2019.02.26 |